본문 바로가기
모든정보

직장인 연말정산 후 꼭 알아야 할 4월 건강보험료 정산 총정리

by 챗주니 2025. 4. 5.
반응형

4월 직장인 건강보험료 정산

직장인 연말정산 후 꼭 알아야 할 4월 건강보험료 정산 총정리

안녕하세요 :) 블로거'챗주니'입니다.
급여 담당자로 일하면서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가 바로 이겁니다.
“왜 4월에 월급이 줄었어요?”

연말정산은 잘 마무리했는데, 정작 4월이 되면 급여명세서를 보고 깜짝 놀라는 직원들이 많죠. 사실 이건 바로 건강보험료 정산 때문입니다.

급여 업무를 맡은 지 얼마 안 된 분들이나, 직원들 문의를 자주 받는 분들이라면 이번 글에서 꼭 정리해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 오늘은 4월마다 진행되는 건강보험료 정산에 대해 실무자들이 알아야 할 모든 내용을 총정리해볼게요.


✅ 왜 4월에 건강보험료가 정산될까요?

직장인은 매달 급여에서 일정 금액의 건강보험료를 납부하고 있죠. 그런데 이 보험료는 사실 **전년도 보수월액(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산정된 금액이에요.

이게 무슨 말이냐면, 예를 들어 2024년 12월에 납부한 건강보험료는 2023년 소득 기준으로 계산된 금액이란 거죠.

그러다 보니 2025년 초에 내는 건강보험료도 여전히 2023년 소득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실제로 2024년에 소득이 변동됐다면 보험료에도 차이가 생기게 됩니다. 이 차이를 반영하는 시점이 바로 매년 4월, 건강보험공단에서 진행하는 보수총액 정산이에요.

📌 건강보험료 정산 일정 흐름

  • 1~2월: 근로소득 연말정산
  • 3월: 연말정산 결과 정리 및 보고
  • 4월: 건강보험공단이 전년도 실제 소득 기준으로 보험료 재산정

이렇게 정산된 금액은 4월 급여에 반영되기 때문에, 월급이 예상보다 적게 나오거나 많게 나올 수 있어요.


✅ 건강보험료 정산이 급여에 미치는 영향

정산 결과에 따라 4월 월급은 다음 세 가지 중 하나의 결과를 보입니다.

  1. 보험료 추가 납부: 전년도보다 소득이 증가했을 경우 → 월급이 줄어듦
  2. 보험료 환급: 전년도보다 소득이 줄었을 경우 → 월급이 늘어남
  3. 변동 없음: 소득이 동일한 경우 → 월급도 동일

실제로 이 정산액은 몇만 원에서 몇십만 원까지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직원들 입장에서는 꽤 민감하게 느껴질 수 있어요. 급여 담당자는 이 시기를 미리 인지하고, 직원들에게 공지하거나 문의에 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은 어떻게 될까요?

건강보험료는 아주 간단하게 말하면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보수월액 × 건강보험료율(2025년 기준 7.09%)

근로자와 사업주가 이 금액을 절반씩 부담합니다.

📌 예시로 보는 건강보험료 계산

A씨의 2024년 연봉이 5,000만 원이라면?

  • 보수월액: 5,000만 원 ÷ 12개월 = 4,166,666원
  • 월 건강보험료: 4,166,666원 × 7.09% = 약 295,416원
  • 근로자 부담: 약 147,708원

※ 연중 입사자라면 실제 근무 개월 수로 계산됩니다.


✅ 보수월액 산정 시 포함/제외 항목

  • 포함되는 항목: 기본급, 직책수당, 연차수당, 상여금, 성과급 등
  • 제외되는 항목: 식대, 차량유지비 등 비과세 수당

예를 들어, 기본급 300만 원 + 야근수당 30만 원 + 식대 20만 원이라면?

→ 보수월액은 식대를 제외한 330만 원으로 계산됩니다.


✅ 경감·면제 대상도 있어요

아래의 경우에는 건강보험료를 일정 부분 경감 또는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 섬·벽지 근무: 50% 경감
  • 1개월 이상 휴직자: 50% 경감 (육아휴직은 추가 조건 적용)
  • 군 지역 근무 군인: 20% 경감
  • 3개월 이상 해외 체류자(피부양자 없음): 전액 면제

✅ 마무리하며…

4월은 급여 담당자에게 있어서 중요한 시기입니다. 특히 건강보험료 정산으로 인해 직원 급여에 변동이 생길 수 있으니, 사전 안내를 해두는 것이 중요해요.

저도 처음엔 "이게 왜 4월에 갑자기 빠지지?" 싶었는데, 알고 나면 명확한 원리더라고요! :)

건강보험료 정산은 매년 반복되는 연례행사이니, 이번 기회에 제대로 정리해두시고 실무에 바로 적용해 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