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세자금대출 총정리|청년 버팀목, 중기청, 은행별 대출조건 & 금리 비교
전세 계약을 앞두고 있다면, 가장 먼저 알아봐야 할 것이 바로 전세자금대출 종류입니다.
특히 청년층, 중소기업 근로자, 일반 직장인 등 상황에 따라 대출 조건과 이자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비교가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청년 전세자금대출, 중기청 전세대출, 일반 은행 전세대출을 쉽게 비교해드릴게요.
✅ 1. 청년 전세자금대출 (청년 버팀목 대출)
- 대상: 만 19세~34세 이하 청년 단독 세대주
- 소득 요건: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 자산 기준: 총자산 3.25억 원 이하
- 임차보증금 한도: 수도권 최대 7천만 원
- 대출 금리: 연 1.5% ~ 2.1%
- 대출 한도: 최대 7천만 원 (임차보증금 90% 이내)
- 보증기관: 주택도시보증공사(HUG)
- 신청방법: 은행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 2. 중기청 전세자금대출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세대출)
- 대상: 만 19~34세 중소기업 재직 청년 (재직기간 무관)
- 소득 요건: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 자산 요건: 총자산 2.92억 원 이하
- 대출 금리: 연 1.2% (고정)
- 대출 한도: 최대 1억 원 (보증금의 100%까지 가능)
- 대출 기간: 2년 (최대 4회 연장 가능, 최장 10년)
- 보증기관: 주택금융공사(HF)
- 특징: 보증금 전액 대출 가능, 이자 부담이 매우 낮음
✅ 3. 일반 은행 전세자금대출 (신용+보증 기반)
- 대상: 근로소득자, 자영업자, 프리랜서 등 (소득 제한 없음)
- 신청처: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NH농협 등
- 대출 금리: 연 3.0% ~ 5.0% (은행·신용등급에 따라 다름)
- 대출 한도: 최대 5억
7억 원 (보증금의 7080%) - 보증기관: HUG, SGI서울보증, 한국주택금융공사 중 선택
- 특징: 소득 요건이 비교적 자유롭고 금액이 크며, 금리는 상대적으로 높음
📌 전세자금대출 한눈 비교표
항목 청년 버팀목 중기청 대출 일반 은행
대상 | 34세 이하 청년 | 중기 재직 청년 | 근로·자영업자 |
소득요건 | 연 5천만 원 이하 | 연 5천만 원 이하 | 무관 |
금리 | 1.5~2.1% | 1.2% (고정) | 3~5% |
한도 | 최대 7천만 원 | 최대 1억 원 | 최대 7억 원 |
보증기관 | HUG | HF | HUG/SGI/HF |
✍️ 마무리하며
전세자금대출은 내 조건에 딱 맞는 상품을 찾는 것이 핵심입니다.
청년이라면 청년 버팀목 대출부터, 중소기업 재직 중이라면 무조건 중기청 대출을 먼저 확인하세요.
일반 직장인이나 고가 전세를 고려 중이라면 은행 전세대출이 적합합니다.
주택 가격이 높은 요즘, 대출 조건을 꼼꼼히 비교하고 정부지원 상품을 최대한 활용해보세요!
반응형
'모든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GPT(챗지피티)와 함께하는 소비 습관 관리|소비 패턴 분석부터 절약 계획까지 AI와 똑똑하게 (0) | 2025.04.20 |
---|---|
2025 달러 가격 전망|원달러 환율 1,500원 돌파할까? (0) | 2025.04.14 |
미국, 중국에 104% 관세 전격 부과|트럼프 2기 대중 무역전쟁 재점화 (0) | 2025.04.09 |
삼성전자 주가 53,700원… 지금 사야 할까? [2025년 4월 7일 기준] (0) | 2025.04.07 |
트럼프 관세 정책에도 비트코인은 오를 수 있을까? (0) | 2025.04.07 |